본문 바로가기

심리학15

강박장애의 진단 기준 * 강박장애의 진단 기준 A. 강박적 사고 또는 강박적 행동 강박적 사고는 (1),(2),(3),(4)로 정의 된다. (1)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사고, 충동, 또는 심상, 이 주요 증상은 장애가 경과하는 도중 어느 시점에서 침입적이고 부적절한 것이라고 경험되며, 현저한 불안이나 고통을 일으킨다. (2) 사고, 충동, 심상은 실생활 문제를 단순히 지나치게 걱정하는 것이 아니다. (3) 개인은 이러한 사고, 충동, 심상을 무시하거나 억압하려고 시도하며 다른 생각이나 행동에 의해 중화하려고 한다. (4) 개인은 강박적인 사고, 충동, 심상이 개인이나 개인 자신의 정신적 산물임을 인정한다(사고 주입의 경우처럼 외부에서 강요된 것이 아닌). 강박적 행동은 (1)과 (2)로 정의된다. (1) 반복적인 행동(예: 손.. 2023. 5. 2.
피학성(자기패배적 성격)-정동과 기질, 방어기제 1. 정동과 기질 임상적 경험에 의하면, 성격적 피학성을 발달시키는 사람들은 분열적 양식을 발달시키는 철수 성향의 유아들에 비해 체질상 더 대상 추구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피학적으로 조직된 사람들의 정동 세계는 우울한 사람들의 그것과 매우 비슷하지만 결정적으로 중요한 한 가지 차이점이 있다. 피학적인 사람들도 의식적으로는 슬픔에, 무의식적으로는 깊은 죄책감에 지배당하고 있지만, 이에 더하여 이들은 분노를 쉽게 느낄 수 있으며 자기 자신을 위해 분개할 수도 있다. 이런 감정 상태일 때 이들은 우울한 사람들보다는 편집 경향이 있는 사람들과 공통점이 더 많다. 피학적인 사람은 자신이 고통을 당하고 있으며, 그것이 부당하다고 본다. 즉 자신을 희생자로 보거나, 혹은 아무 잘못도 없지만 나쁜 운명을 타고나서 팔자.. 2023. 4. 30.
피학적(자기패배적)성격-방어기제(2) 도덕화 도덕화도 다른 사람들을 화나게 만드는 방어로 사용될 수 있다. 피학적인 사람들은 종종 현실적인 문제 해결보다 도덕적 승리에 훨씬 더 큰 관심을 보인다. 이 역동은 부분적으로는 자신이 나쁜 사람이라는 우울신념을 처리하는 방법인 듯하다. 자신의 이야기를 듣는 사람이 "죄를 지은 것은 당신이 아니라 다른 사람이구나"라고 확인해 주기를 바라는 욕구가 너무 커서 대다수가 우선순위를 두기 마련인 실제적인 목표에 주목하지 못한다. 예를들어 때로 사람들이 적법한 절차에 따라 국세청에 세금 환급을 요구하는 편지를 써야하는 경우, 상당한 액수를 환급받을 자격이 있는 자기 패배적인 내 환자에게 그런 생각을 해 보도록 하는데 몇 주가 걸린 일이 있었다. 정작 그녀는 국세청이 자신의 세금 문제를 잘못 처리했음을 나에게 .. 2023. 4. 29.
피학성(자기패배적)성격- 대상관계 * 피학증에서의 대상관계 '피학적인 사람은 희망을 버리지 않는 우울한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피학증의 병인을 우울증과 비교해 봤을 때, 그들이 경험한 박탈과 외상적 상실은 비록 그들에게 우울 반응을 가져다주기는 했지만 '나는 사랑받고 있다'는 생각을 온전히 포기하게 만들 정도로 혹독하지는 않았다. 이는 부모 노릇을 제대로 못하는 사람이라도 자기 아이가 다치거나 위험에 처하면 크게 수선을 떨며 어떤 행동을 취할 수 있다. 이들의 자녀들은 비록 전반적으로는 버림받은 느낌과 버림받았으므로 무가치하다는 느낌에 시달리지만, 만약 자신이 충분히 고통을 받는다면 어느 정도 보살핌을 받을지도 모른다고 배운다 대개 피학적인 사람의 과거력은 우울한 사람의 과거력과 비슷한 면이 많다. 그들의 삶에는 애도하지 못한 중요한.. 2023. 4. 26.